품질경영기사(2022. 4. 24.) 기출풀이

2024. 2. 13. 10:48품질경영기사

1과목 실험계획법

1. 다음은 A, B, C의 요인으로 각 2수준계 8조의 23 형 요인실험을 랜덤으로 행한 데이터이다. 이 때 SA의 값은?

 

 

SSA=n×((XA0Xtotal)^2+(XA1Xtotal)^2)

 

A0=19/ 4= 4.75
A1=29/ 4=7.25
전체평균 = 6
n(반복)은 4번

 

요인 A의 두 수준 의 평균 반응값은 각각 4.75와 7.25입니다. 모든 값의 총 평균은 6.0이고, 이를 바탕으로 계산한 요인 A의 제곱합(Sum of Squares for Factor A, SSA)은 12.5입니다.

 

2. 23형의 교락법에서 인수분해식을 이용하여 단독교락을 실시하려 할 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블록이 2개로 나누어지는 교락을 의미한다.
  • ② (1)을 포함하지 않는 블록을 주블록이라고 한다.
  • ③ 주효과 A를 블록과 교락시키면, 블록 1은 (1), b, c, bc이고, 블록 2는 a, ab, ac, abc 가 된다.
  • ④ 블록과 교락시키기 원하는 효과에 –1을 붙여, 인수분해를 풀어 +군과 –군으로 나누어 블록을 배치한다.

정답: 2

 

요인(1)을 포함하는 블록을 주블록이라고한다

 

3.A요인의 수준수가 3인 실험을 5회 반복하여 ST = 668, SA = 190을 얻었다. 오차항의 분산를 추정하면 약 얼마인가?

ST = 668, SA = 190, Se = ST-SA = 668 - 190 = 478
수준수 l = 3, 반복수 r = 5 -> 자유도A = l - 1 = 3 - 1 = 2, 자유도T = lr - 1 = 15 - 1 = 14
자유도e = 자유도T - 자유도A = 12
Ve = Se / 자유도e = 478 / 12 = 39.8333

 

4.원래 농사시험에서 고안된 실험법으로 큰 실험구를 주구로 분할한 후 주구내 실험단위를 세구로 등분하여 실험하는 실험방법은?

    1. 분할법
     2. 직교배열법
     3. 교락법
     4. Kn형 요인실험

정답: 1

 

7. 제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요인 A와 요인 B를 랜덤하게 반복 없는 2요인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이 때의 수정항(CT)과 총제곱합(ST)은 각각 얼마인가?

 

CT=(-17)^2 / 12 = 24.08

 

수정항 : 24.08, 총제곱합 : 6342.92

 

8. 계량 및 계수치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료의 종류는 계수요인이다.
     2. 계량요인은 온도, 압력 등과 같이 계량치로 측정되는 요인이다.
     3. 요인이 계수치인 경우에는 요인이 갖는 종류의 2배수만큼 수준수로 취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요인이 계량치인 경우에는 수준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흥미영역의 최대치와 최소치로 취해주는 것이 좋다.

3번

요인이 계수치던 계량치던 요인의 수와 수준의 수는 상관 없음

 

따라서 선형식의 단위수는 1/3^ + 1/3^ + 1/3^ + (-1/4)^ + (-1/4)^ + (-1/4)^ + (-1/4)^ 입니다.
계산하면 7/12가 나옵니다. 따라서 정답은 1번입니다

 

10.4대의 기계(A)와 이들 기계에 의한 제조공정시 열처리 온도(B:2수준)의 조합 AiBj에서 각각 n개씩의 제품을 만들어 검사할 때 적합품이면 0, 부적합품이면 1의 값을 주기로 한다. 이 때 데이터의 구조는?

 

11.다구찌는 사회지향적인 관점에서 품질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품질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용비용
     2. 공해환경에 의한 손실
     3. 기능산포에 의한 손실
     4. 폐해항목에 의한 손실

 

12. 반복이 있는 2요인 실험 혼합모형에서 다음과 같은 분산분석표를 구했다. ( ㉠ )에 들어갈 값은 얼마인가? (단, A는 모수요인, B는 변량요인이다.)

 

반복이 있는 2요인실험 (혼합모형) 에서는
A x B (자유도) = 3 x 2 = 6
e (자유도) = 23 - (3 + 2 + 6) = 12
A x B (MS) = 6 / 6 = 1
e (MS) = 6 /12 = 0.5
ㄱ= Va / V axb = 10 / 1 = 10 [반복이 있는 2요인실험 (혼합모형)]

16. 라틴방격법에서 요인 A, B, C가 있다. 수준수는 각각 4이고, 반복 2회의 실험을 하였을 때, 오차항의 자유도는 얼마인가?
     1. 6
     2. 12
     3. 15
     4. 21

 

오차항의 자유도=(n×n×반복 )(n×요인 )

 

41. PERT에서 어떤 활동의 3점 시간견적결과 (4, 9, 10)을 얻었다. 이 활동시간의 기대치와 분산은 각각 얼마인가?
     답:3번
     1. 23/3, 1
     2. 23/3, 5/3
     3. 25/3, 1
     4. 25/3, 5/3

 

방향에 맞도록 목표물을 돌려놓거나 위치를 잡아놓기로서 운반동작 중 바로 놓을 수도 있는 서블릭 기호는?

1.Pre Position(준비함)
2.Grasp(쥐기)
3.Position(바로 놓기)
4.Hold(잡고 있기)

 

JIT 시스템에서 생산현장의 상태관리를 의미하는 5S 운동이 아닌 것은?

5S - 정리,정돈,청소,청결,습관화

 

그래프 중 수량의 크기를 비교할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것은?

막대그래프

 

히스트로그램의 작성 목적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공정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2. 데이터의 흩어진 모양을 알기 위해
3. 부적합 대책 및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4. 규격치와 비교하여 공정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도수분포표를 작성할 때 일반적으로 계급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단, n은 데이터의 수이고, 최소 100개 이상인 경우이다.)

1. √n
     2. 2×n1/4
     3. 1+log2n
     4. 경험적 방법

 

4개의 PCB 제품에서 각 제품마다 10개를 측정했을 때, 부적합수가 각각 2개, 1개, 3개, 2개가 나왓다. 이때 6시그마 척도인 DPMO(Defects Per Million Oppoptunities)는?

DPMO = DPO * 1,000,000
DPO = 총 결함수 / 총 기회수

답: 200000

표준화란 어떤 표준을 정하고 이에 따르는 것 또는 표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활용하는 조직적인 행위이다. 표준화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규격은 일정한 기간을 두고 검토하여 필요에 따라 개정하여야 한다.
     2. 표준화란 본질적으로 전문화의 행위를 위한 사회의 의식적 노력의 결과이다.
     3. 규격을 제정하는 행동에는 본질적으로 선택과 그에 이어지는 과정이다.
     4. 표준화란 경제적, 사회적 활동이므로 관계자 모두의 상호협력에 의하여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2번 표준화란 본질적으로 단순화의 행위를 위한 사회의 의식적 노력의 결과이다.

 

47. 적시생산시스템(JI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의 평준화로 작업부하량이 균일해진다.
     2. 생산준비시간의 단축으로 리드타임이 단축된다.
     3. 간판(Kanban)이라는 부품인출시스템을 사용한다.
     4. 입력정보로 재고대장, 주일정계획, 자재명세서가 요구된다. - MRP

 

 

5과목 품질경영

81. 사내표준화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방법
     2. 특허
     3. 재료
     4. 기계

82. 측정시스템에서 안정성(s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전성은 치우침뿐만 아니라 산포가 커지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2. 안전성 분석방법에서 산포관리도가 관리상태가 아니고 평균관리도가 관리상태일 때, 측정시스템이 더 이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음을 뜻한다.
     3. 안정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종일 부품에 대한 측정 결과의 변동 정도를 의미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된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 안정성이 결여된 것이다.
     4. 통계적 안정성은 정기적으로 교정을 하는 측정기의 경우 기준치를 알고 있는 동일 시료를 3~5회 측정한 값을 관리도를 통해 타점헤 가면서 관리선을 벗어나는지 유무로 산포나 치우침이 발생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